특수교육

잘못된 부분참여의 원리와 지원방안

joeyK 2013. 8. 6. 21:59

잘못된 부분참여의 원리



부분참여의 원리란~ 수업에 참여하기 어려운 중도중복장애 학생들로 하여금 최대한 할 수 있는 부분에 수업을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것을 말하는데요. 하지만 지원의 과정에서 교사의 역량이나 사회적 환경에 따라 다양한 문제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수동적 참여, 근시안적 참여, 단편적 참여, 부족한 참여가 그 예인데요.. 다음은 잘못된 참여의 예와 지원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


1) 수동적 참여

(1) 장애 학생이 일반 또래를 관찰 할 수는 있지만 상호작용은 하지 않는 자연스러운 환경에 물리적으로 배치하는 실제

(2) 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자연스러운 환경에 배치되었으나 적극적으로 활동들에 참여하도록 허락하는 대신에 또래들이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관찰하는 것이다

) 음악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이 다른 학생들이 연주하는 동안 그냥 듣기만 하는 경우이다

 수동적인 참여 대신 적극적인 참여를 장려하여야 한다 이는 학생 들에게 교수기술이 내재된 다양한 환경들에 걸쳐서 여러 유형의 행동들을 연습하도록 함으로써 성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의 신체적인 상태와 사회적 지위를 신장시킬 수 있다


2) 근시안적 참여

(1) 장애 학생이 일반교육과정에 최소한의 기회에 참여하도록 장애 학생의 참여를 제한하는 실제

(2) 교사가 교육과정의 관점들 중 한 가지 혹은 몇 가지만을 좁은 시야로 집중하고 학생이 학습의 전반적인 기회들로부터 이득을 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 생필품 가게에 갔을 때 학생에게 물건들을 고르고 사는 기회를 주는 대신에 손수레만을 밀게 한 다거나음식을 준비하거나 식후에 정리를 하는 대신에 간식을 준비할 때 깡통따개 사 용 연습을 시킬 수 있다

교사들은 근시안적 참여를 피하기 위해서 다양한 관점을 유의할 수 있다 이는 가족과 지역시회참조사정 전략들(생태학적 목록 가족 면담 등)과 과정과 결과물에 대한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3) 단편적 창여(비정규적 참여)

(1) 학생이 몇몇 활동들에 부정기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

) 일주일에 2일은 사회과목 수업에 또래들과 함께 일주일에 3일 동안 참여하고일주일에 2 일은 같은 시간에 분리 된 상태 로 진행하는 치료교육에 참여하기 위해 서 학급에서 데리고 나와야 하는 경우이다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제작하기 위하여 다양한 출처에서 정보를 얻음으로써 단편적 참여를 피할 수 있다 이는 진단프로그램 개발교수평가를 팀 접근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4) 참여기회 부족(부족한참여)

(1) 일반교육활동 중 장애학생이 독립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발생하는 활동 참여 기회 부족

(2) 학생이 독립적으로 활동을 하기 위해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게 함으로써 학생으로 하여금 더 많은 수의 활동들에 참여 할 기회를 상실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 중고등학교에서 학급 간 이동을 위해 휠체어를 스스로 천천히 밀어서 이동하는 학생은 각 수업 의 일부를 놓칠 수 있다.

 교사들은 상호의존의 목표를 지향함으로써 참여기회의 상실을 줄일 수 있다. 이는 기능적 생활방식을 유지하기 위한 지원을 통해 성취될 수 있다